퇴사 & 직장생활 법률

(2025년)하청·파견 노동자 퇴사와 퇴직 보호 확대법 적용 쟁점 알아보자

법바오 2025. 8. 30. 19:59

최근 하청·파견 노동자에 대한 보호가 점차 강화되면서, 퇴사 과정에서의 권리퇴직금 청구 문제가 중요한 사회적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정규직 중심의 법적 보호가 주류였지만, 법 개정과 판례 변화를 통해 비정규직 노동자들도 보호 범위 안으로 들어오고 있습니다.

 

✔️ 하청 노동자의 퇴직금 청구권


하청업체 소속으로 일했지만, 사실상 원청의 지휘·감독을 받아왔다면 퇴직 시 퇴직금 청구권이 누구에게 있는지가 문제 됩니다. 판례는 실질적 사용자가 누구인지에 따라 원청에게도 책임을 인정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 파견 근로자의 퇴사 절차


파견 노동자가 계약 만료 전 퇴사를 원할 경우, 단순 계약 위반이 아닌 정당한 사유로 인정될 수 있는지가 쟁점입니다. 특히 노동조건 위반, 차별적 처우가 있었다면 근로자가 불이익 없이 퇴사할 수 있다는 주장이 가능해집니다.

 

✔️ 법 개정에 따른 권리 확대


2025년 국회에서 통과된 법안은 하청·파견 노동자의 노동 3권과 함께 퇴직 보호 관련 권리도 일부 확대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고용노동부 공식 자료 보기

 

내일을 위한 고용노동부 - 고용노동부가 밝은 미래를 열어드립니다

 

www.moel.go.kr

 

✔️ 실무 대응의 중요성


하청·파견 노동자 입장에서는 퇴사 시 자신의 신분이 모호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계약서와 실제 근무형태를 비교하고, 법적 사용자 판단에 따라 권리를 주장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참고 포인트

 

🟦 상황예시 : 파견업체 소속으로 근무했지만, 원청 관리자의 지시를 받아 근무하다 퇴사 후 퇴직금 분쟁 발생

 

🟩 확인할 것들 : 근로계약서 기재 내용, 실제 근무지 관리·감독 주체, 법 개정 적용 여부

 

🟨 판례 요약 : 대법원 2017다256987, 2019.03.14. 선고 

파견 근로자가 원청의 지휘를 직접 받았다면 퇴직금 지급 책임을 원청에게도 인정

 

🐻‍❄️법바오실무꿀팁🐻‍❄️

 

하청·파견 노동자의 경우 퇴사 후 퇴직금 문제에서 원청의 책임을 다투는 소송이 늘고 있습니다.

퇴사 전부터 근무형태·지시관계 등을 정리해두면 분쟁 발생 시 입증에 유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