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입자보호2 (2025년)월세 연체 시 계약 해지 절차와 세입자 보호 월세가 밀렸을 때 집주인이 곧바로 계약을 해지할 수 있는지, 세입자가 어떤 보호를 받을 수 있는지는 실제 분쟁에서 자주 문제가 됩니다. 단순히 며칠 늦은 정도와 장기간 연체는 법적 의미가 전혀 다르며, 이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월세 연체와 계약 해지 사유 민법에 따르면 임차인이 2기 이상 차임을 연체했을 경우 임대인은 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순 지연 납부만으로는 계약 해지 사유가 되지 않으며, 2개월치 이상 밀렸을 때 비로소 법적 근거가 생깁니다. ✔️ 집주인의 해지 통보 절차 계약 해지를 주장하는 집주인은 공식적인 해지 의사 표시를 해야 하며, 보통 내용증명 우편을 통해 통보합니다. 이후 임차인이 버틸 경우에는 법원 절차를 거쳐 인도명령이나 퇴거 소송을 통해 강제력이 .. 2025. 9. 3. [2025년 최신] 퇴거 전날, 집주인이 갑자기 열쇠 바꿨어요. 불법 아닌가요? 이사 전날, 집주인이 갑자기 자물쇠를 바꿔버렸다면?짐도 다 안 뺐는데 문을 열 수 없게 되어 당황한 적 있으신가요?이건 단순한 오해가 아니라, 형사처벌까지 가능한 '주거침입' 문제로 이어질 수 있는 심각한 사안입니다.퇴거 전 갈등이 터질 수 있는 이 상황, 법적으로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정리해 드립니다. ✔️ 퇴거 하루 전, 집주인이 열쇠를 바꿨어요. 불법 아닌가요? 결론부터 말하면, 불법 가능성 매우 높습니다.임대차 계약이 아직 종료되지 않았거나, 세입자가 열쇠를 반납하지 않은 상태라면, 점유권은 여전히 세입자에게 있습니다. 따라 집주인이 일방적으로 출입을 차단하면 - 주거침입죄 (형법 제319조 ) 성립 가능- 이사방해죄 또는 권리행사방해죄 주장 여지 존재 자물쇠를 바꾸는 행위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2025. 7. 3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