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체불4 [2025년]야근수당 안 주는 회사? 연장근로수당까지 제대로 받는 법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야근수당 문제로 고민해본 경험이 있습니다. 특히 회사가 법적 기준을 무시하거나, '성과급에 포함된다'는 식으로 회피하는 경우가 많아 실제 권리를 지키기가 쉽지 않습니다. ✔️ 야근수당의 법적 기준 우리나라 근로기준법은 1일 8시간, 1주 40시간을 초과한 근로에 대해 추가 수당을 지급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연장근로는 통상임금의 1.5배로 계산되며, 주말·공휴일 근무는 더 높은 가산율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연장근로수당과 야근수당의 차이 연장근로수당은 법정 근로시간을 넘어선 모든 근로에 적용되며, 야근수당은 오후 10시부터 다음날 오전 6시 사이의 근무에 별도로 적용됩니다. 즉, 두 가지가 동시에 적용될 수 있어 정확한 구분이 필요합니다. ✔️ 회사에서 자주 쓰는 핑계.. 2025. 9. 12. 2025년 외국인 근로자 임금 체불·퇴직금 미지급 해결 절차(Wage Arrears & Unpaid Severance for Foreign Workers – How to Claim Your Rights) 한국에서 일하는 외국인 근로자 중 일부는 임금 체불(Wage Arrears)이나 퇴직금 미지급(Unpaid Severance) 문제를 겪습니다. 하지만 비자·체류 문제 때문에 적극적으로 권리를 주장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국 법은 내·외국인을 구분하지 않고 동일하게 근로기준법을 적용하므로, 절차를 알면 충분히 권리를 지킬 수 있습니다. ✔️ 임금 체불·퇴직금 미지급의 법적 의미 (Legal Definition)「근로기준법」 제43조와 제36조는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임금·퇴직금을 정해진 기일 내 전액 지급해야 한다고 규정합니다. 이를 위반하면 형사처벌(Criminal Penalty)과 지연이자(Late Payment Interest) 부과 대상이 됩니다. ✔️ 해결 절차 (Steps to Resol.. 2025. 8. 19. 2025년-사업장 변경 허가 거부 대응법 (How to Respond When Your Workplace Transfer Request is Denied) 외국인 근로자가 더 나은 근로조건이나 임금, 안전한 근무환경을 찾아 사업장 변경(Workplace Transfer)을 요청했지만, 고용노동부에서 허가 거부(Denial) 결정을 내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한국의 고용허가제(E-9, H-2 비자 등)에서 흔히 발생하는 문제로, 법적으로 대응이 가능합니다. ✔️ 사업장 변경 허가란? (What is a Workplace Transfer Permit?)한국에서 외국인 근로자는 고용허가제를 통해 특정 사업장에서만 근무할 수 있으며, 중간에 회사를 옮기려면 고용노동부의 변경 허가(Transfer Permit)를 받아야 합니다. 단, 법에서 인정하는 사유가 있어야 하며, 사유가 불충분하면 허가 거부가 됩니다. ✔️ 허가 거부 사유 (Reasons for Deni.. 2025. 8. 17. 2025년 재택근무 중 ‘출퇴근 기록 누락’이라며 급여를 깎는다고요? "재택근무 중인데, 퇴근 로그가 안 찍혔다며 하루치 급여를 차감하겠다고 합니다.이거 합법인가요?" 요즘 재택근무 중 출퇴근 기록 문제로 급여 분쟁이 꽤 많아졌습니다.하지만 이런 경우, 회사가 일방적으로 급여를 깎아도 되는 걸까요? ✔️ 출퇴근 로그가 없으면 급여를 깎을 수 있나요? 원칙적으로 근로자는 '노무를 제공한 시간'에 대해 임금을 받을 권리가 있습니다.단순히 로그가 없다고 해서 무조건 미지급하는 건 입증 책임을 근로자에게 떠넘기는 행위가 될 수 있습니다. 즉, 실제로 일한 증거만 있다면 회사는 이를 무단결근처럼 간주해선 안 됩니다. ✔️ 재택근무일수록, 회사가 입증 책임을 져야 합니다 특히 회사가 출퇴근 기록 시스템을 제대로 갖추지 않고카톡·전화·이메일 등으로만 업무를 지시했다면,실제로 일을 .. 2025. 7. 2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