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퇴사 & 직장생활 법률

[2025년]야근수당 안 주는 회사? 연장근로수당까지 제대로 받는 법

by 법바오 2025. 9. 12.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야근수당 문제로 고민해본 경험이 있습니다. 특히 회사가 법적 기준을 무시하거나, '성과급에 포함된다'는 식으로 회피하는 경우가 많아 실제 권리를 지키기가 쉽지 않습니다.

 

✔️ 야근수당의 법적 기준

 

우리나라 근로기준법은 1일 8시간, 1주 40시간을 초과한 근로에 대해 추가 수당을 지급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연장근로는 통상임금의 1.5배로 계산되며, 주말·공휴일 근무는 더 높은 가산율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 연장근로수당과 야근수당의 차이

 

연장근로수당은 법정 근로시간을 넘어선 모든 근로에 적용되며, 야근수당은 오후 10시부터 다음날 오전 6시 사이의 근무에 별도로 적용됩니다. 즉, 두 가지가 동시에 적용될 수 있어 정확한 구분이 필요합니다.

 

✔️ 회사에서 자주 쓰는 핑계

 

회사는 종종 '연봉에 포함되어 있다', '성과급으로 대체한다'는 이유를 들지만, 법적으로는 별도 지급이 원칙입니다. 이런 경우 노동청 진정을 통해 바로잡을 수 있습니다.

 

✔️ 권리 보호를 위한 준비

 

야근·연장근로를 했다면 출퇴근 기록, 메신저 업무 지시, 업무 보고 메일 등 객관적 증거를 반드시 확보해야 합니다. 이런 기록이 있어야 노동위원회나 법원에서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 공식 신고 절차

 

👉 고용노동부 공식 자료 보기
👉 국민신문고 임금체불 신고하기

 

국민신문고

 

www.epeople.go.kr

 

 

내일을 위한 고용노동부 - 고용노동부가 밝은 미래를 열어드립니다

 

www.moel.go.kr

 

🔎 참고 포인트

 

🟦 상황예시 : 회사가 연봉에 포함됐다며 야근수당을 지급하지 않는 경우

 

🟩 확인할 것들 : 근로계약서 임금 항목, 출퇴근기록, 주 40시간 초과 여부

 

🟨 판례 요약 : 대법원 2014다232316, 2016.02.18. 선고 – 연봉 계약에 포함됐다 해도 별도 수당 지급 의무 인정

 

🐻‍❄️법바오실무꿀팁🐻‍❄️

 

야근수당이나 연장근로수당 문제는 임금체불로 바로 이어지기 때문에, 회사 내부 해결이

어렵다면 주저하지 말고 고용노동부 진정을 넣는 것이 가장 빠릅니다. 신고 이후에는 회

사가 보복 인사 조치를 할 경우 부당노동행위로 추가 제재가 가능하니, 두려워하지말고

증거를 갖춰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