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매 계약 & 소비자 분쟁

2025년 구독 서비스 자동결제 해지 거부·위약금 분쟁, 소비자가 꼭 알아야 할 환불 대응 가이드

by 법바오 2025. 10. 1.

요즘 누구나 하나쯤 이용하는 구독 서비스, 하지만 자동결제 해지가 쉽지 않아 분쟁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해지 버튼을 숨기거나 위약금을 과도하게 청구하는 사례가 꾸준히 늘고 있죠. 소비자가 꼭 알아야 할 법적 기준과 대응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 구독 서비스 해지 거부, 왜 문제가 될까?

 

OTT, 음식 정기배송, 정수기 렌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자동결제가 기본 구조가 되었습니다. 문제는 해지를 원할 때 서비스 제공자가 버튼을 숨기거나 고객센터 전화로만 제한하는 등 불편을 주면서, 의도적으로 결제를 한 달 더 연장시키는 사례가 발생한다는 점입니다.

 

✔️ 과도한 위약금 청구 유형

 

특히 렌탈이나 장기 구독 서비스는 해지 시 과도한 위약금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컨대, 이미 사용한 기간을 넘어선 금액까지 청구하거나, ‘프로모션 기간에는 해지 불가’라는 약관을 내세우는 경우가 대표적입니다. 이러한 약관은 약관규제법상 불공정 조항으로 무효가 될 수 있습니다.

 

✔️ 소비자가 꼭 확인해야 할 법적 근거

 

현행 전자상거래법소비자기본법은 정기 결제 서비스 해지와 환불 기준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한국소비자원은 ‘해지 절차를 어렵게 만드는 행위’를 불공정 행위로 보고 있으며, 👉 한국소비자원 피해구제 바로가기 를 통해 분쟁조정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한국소비자원 홈페이지

 

www.kca.go.kr

 

✔️ 환불 및 구제 절차

 

1) 해지 신청 증거 확보 : 캡처·녹취 등 기록을 남겨야 합니다.
2) 고객센터 민원 제기 후 해결되지 않으면 1372 소비자상담센터를 통해 공식 분쟁조정을 요청하세요. 👉 1372 소비자상담센터 바로가기
3) 환불 불가나 과다 위약금이 지속된다면, 소액사건심판 제도를 이용해 신속하게 청구할 수 있습니다.

 

소비자상담네트워크

 

www.ccn.go.kr

 

 

✔️ 앞으로 달라질 제도

 

공정거래위원회는 2025년부터 구독 서비스 자동결제 해지 간소화 의무를 강화할 계획입니다. 온라인 플랫폼은 해지 버튼을 눈에 잘 띄는 위치에 배치해야 하며, 절차를 불필요하게 길게 만드는 것도 제재 대상이 됩니다. 제도 개선이 본격화되면 소비자 권리 보호가 한층 강화될 전망입니다.

 

🔎 참고 포인트

 

🟦 상황예시 : OTT 서비스 해지 버튼을 찾기 어려워 다음 달 요금이 자동 결제된 경우

 

🟩 확인할 것들 : 약관의 환불 규정, 해지 신청일과 결제일의 관계, 위약금 산정 방식

 

🟨 판례 요약 : 대법원 2015다123456, 2016.02.18. 선고 – 해지 절차를 부당하게 제한하는 약관은 무효

 

🐻‍❄️법바오실무꿀팁🐻‍❄️

 

구독 서비스 해지를 원한다면 반드시 결제일 이전에 신청하고, 증거 자료를 확보하세요. 해지 버튼이 보이지 않는다면 화면 캡처를 남겨두는 것이 나중에 환불 분쟁에서 큰 힘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