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장괴롭힘2

사장이 욕하고 물건 던졌는데 CCTV는 안 찍혔습니다. 폭행·모욕 피해, 증거 없을 때 근로자가 취할 수 있는 현실적 대응법 (2025년형) 퇴근길까지 끌려가서 사장이 욕하고 물건을 던졌는데, CCTV는 없고 목격자도 없다는 얘기 — 정말 많은 근로자들이 겪는 현실적인 상황입니다. “증거 없으면 그냥 넘어가야 하나요?”라는 말이 나올 만큼, 현장에서 이런 사건은 흔하지만 대응 방법은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증거 불충분 상태에서 폭행·모욕 피해를 입은 근로자가 어떤 법적 절차를 밟을 수 있는지, 그리고 노동청 신고 외에 실질적인 대처 방안을 중심으로 정리했습니다. ✔️ 증거가 없어도 ‘진술’은 증거가 된다 형사절차에서 폭행·모욕죄는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CCTV나 녹음이 없어도, 당시의 상황을 구체적으로 기록한 피해 일지, 문자·카톡 대화, 현장 직후의 반응은 증거로서 의미가 있습니다.특히 ‘사.. 2025. 11. 3.
퇴사 전 인수인계 강요, 법적 의무일까? 거부해도 되는 상황 정리 (2025년 최신판) 많은 직장인들이 퇴사 의사를 밝힌 후 겪는 공통된 고민이 있습니다. 바로 ‘인수인계 압박’입니다. 회사는 인수인계를 명목으로 근로자를 붙잡아두려 하거나, 제대로 안 하면 손해배상을 청구하겠다고 위협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모든 인수인계 요구가 법적으로 정당한 것은 아닙니다. 이번 글에서는 퇴사 전 인수인계 의무의 범위와 거부 가능한 경우를 구체적으로 알아봅니다. ✔️ 인수인계는 근로계약상 ‘성실의무’일 뿐, 법적 강제력은 제한적 근로자가 퇴사 전 자신의 업무를 인수인계하는 것은 통상적인 관행이지만, 근로기준법이나 다른 법령에서 인수인계를 강제하는 규정은 없습니다. 이는 계약상 ‘성실의무’의 일환일 뿐, 이를 이유로 퇴사를 제한하거나 손해배상을 청구할 법적 근거는 부족합니다. 특히 인수인계 요구가 본래 근로.. 2025. 10.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