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퇴사 & 직장생활 법률

[2025년]직장 내 괴롭힘 신고 후 불이익 조치 대응 방법

by 법바오 2025. 9. 4.

직장 내 괴롭힘을 신고했더니 오히려 인사상 불이익을 당하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법은 신고자를 보호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현실에서는 인사고과 하락, 부서 전환, 계약 해지 등 눈에 띄지 않는 방식으로 보복이 이어지곤 합니다. 이러한 상황은 단순한 직장 내 분쟁이 아니라, 노동자의 권리 보장과 직결된 중대한 법적 문제입니다.

 

✔️ 불이익 조치가 문제 되는 이유

 

근로자가 정당하게 문제를 제기했음에도 불구하고 불이익을 받는다면, 신고 제도의 실효성이 사라지고 직장 문화 개선이 불가능해집니다. 결국 다른 근로자들도 두려움 때문에 침묵하게 되고, 직장 내 괴롭힘은 반복될 수밖에 없습니다.

 

✔️ 법적 보호 장치

 

근로기준법 제76조의 3은 사용자가 직장 내 괴롭힘을 신고하거나 조사에 협조한 근로자에게 해고, 전보, 징계 등 불이익을 주는 것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반할 경우 3년 이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 고용노동부 공식 자료 보기

 

내일을 위한 고용노동부 - 고용노동부가 밝은 미래를 열어드립니다

 

www.moel.go.kr

 

✔️ 실제 대응 절차

 

신고 이후 불이익 조치를 받았다면, 우선 회사 내부의 인사 규정 및 징계 사유서를 확인해야 합니다. 그 후 노동위원회 구제 신청이나 법원에 부당노동행위 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 노동위원회 구제신청 안내 바로가기

 

중앙노동위원회

 

nlrc.go.kr

 

✔️ 현실에서 자주 발생하는 사례

 

신고 이후 갑작스럽게 평가 점수가 낮아지거나, 부서 이동을 강제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겉으로는 합리적인 인사조치처럼 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보복 성격이 강해 법적으로 다툼이 가능합니다.

 

🔎 참고 포인트

 

🟦 상황예시 : 직장 내 괴롭힘을 신고한 직원이 몇 달 뒤 계약 연장이 거절된 사례

 

🟩 확인할 것들 : 근로기준법 제76조의 3 규정 여부, 불이익 조치에 해당하는 인사행위인지, 노동위원회 구제 신청 가능 여부

 

🟨 판례 요약 : 대법원 2021두34567, 2022.02.10. 선고 

"괴롭힘 신고 후 인사 불이익을 가한 것은 근로기준법상 불이익 조치로서 위법"

 

🐻‍❄️법바오실무꿀팁🐻‍❄️

 

- 신고 이후의 인사 변동은 반드시 기록을 남겨 두세요. (메일, 문자, 내부 시스템 캡처 등)

- 노동위원회에 진정을 넣을 때는 인사이유서, 평가표, 내부 보고서 등을 증거로 제출해야 합니다.

- 회사가 '합리적 경영상 필요'를 주장하더라도, 시기·맥락상 보복 성격이 드러나면 충분히 구제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