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퇴사 & 직장생활 법률

(2025년)하청·파견 노동자 퇴사와 퇴직 보호 확대법 적용 쟁점 알아보자

by 법바오 2025. 8. 30.

최근 하청·파견 노동자에 대한 보호가 점차 강화되면서, 퇴사 과정에서의 권리퇴직금 청구 문제가 중요한 사회적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정규직 중심의 법적 보호가 주류였지만, 법 개정과 판례 변화를 통해 비정규직 노동자들도 보호 범위 안으로 들어오고 있습니다.

 

✔️ 하청 노동자의 퇴직금 청구권


하청업체 소속으로 일했지만, 사실상 원청의 지휘·감독을 받아왔다면 퇴직 시 퇴직금 청구권이 누구에게 있는지가 문제 됩니다. 판례는 실질적 사용자가 누구인지에 따라 원청에게도 책임을 인정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 파견 근로자의 퇴사 절차


파견 노동자가 계약 만료 전 퇴사를 원할 경우, 단순 계약 위반이 아닌 정당한 사유로 인정될 수 있는지가 쟁점입니다. 특히 노동조건 위반, 차별적 처우가 있었다면 근로자가 불이익 없이 퇴사할 수 있다는 주장이 가능해집니다.

 

✔️ 법 개정에 따른 권리 확대


2025년 국회에서 통과된 법안은 하청·파견 노동자의 노동 3권과 함께 퇴직 보호 관련 권리도 일부 확대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고용노동부 공식 자료 보기

 

내일을 위한 고용노동부 - 고용노동부가 밝은 미래를 열어드립니다

 

www.moel.go.kr

 

✔️ 실무 대응의 중요성


하청·파견 노동자 입장에서는 퇴사 시 자신의 신분이 모호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계약서와 실제 근무형태를 비교하고, 법적 사용자 판단에 따라 권리를 주장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참고 포인트

 

🟦 상황예시 : 파견업체 소속으로 근무했지만, 원청 관리자의 지시를 받아 근무하다 퇴사 후 퇴직금 분쟁 발생

 

🟩 확인할 것들 : 근로계약서 기재 내용, 실제 근무지 관리·감독 주체, 법 개정 적용 여부

 

🟨 판례 요약 : 대법원 2017다256987, 2019.03.14. 선고 

파견 근로자가 원청의 지휘를 직접 받았다면 퇴직금 지급 책임을 원청에게도 인정

 

🐻‍❄️법바오실무꿀팁🐻‍❄️

 

하청·파견 노동자의 경우 퇴사 후 퇴직금 문제에서 원청의 책임을 다투는 소송이 늘고 있습니다.

퇴사 전부터 근무형태·지시관계 등을 정리해두면 분쟁 발생 시 입증에 유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