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저작권 & 디지털 분쟁

DRM 우회 사용, 처벌과 소비자 권리 분쟁 해결 방법-2025년형

by 법바오 2025. 9. 10.

디지털 콘텐츠를 구매했지만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때문에 원하는 방식으로 이용하지 못해 불편을 겪는 소비자가 많습니다. DRM은 영화, 음악, e북 등에서 무단 복제와 불법 유통을 막기 위해 적용되지만, 정작 돈을 주고 콘텐츠를 산 소비자에게도 큰 제약을 줍니다. 이 과정에서 DRM 우회 사용과 관련한 처벌 및 권리 갈등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 DRM이란 무엇인가?

 

DRM은 저작권 보호를 위해 콘텐츠 제작자가 설정한 보안 장치입니다. 특정 기기에서만 재생되도록 제한하거나 복사 횟수를 막는 기능을 합니다. 문제는 이 장치가 소비자가 합법적으로 구매한 콘텐츠의 활용을 과도하게 제한한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e북을 PC에서만 볼 수 있고 태블릿에서는 접근이 불가능하다면 소비자는 불편함을 느낄 수밖에 없습니다.

 

✔️ DRM 우회 사용의 법적 문제

 

저작권법은 DRM을 무단으로 해제하거나 우회하는 행위를 명시적으로 금지하고 있습니다. 즉, 콘텐츠를 개인적 목적으로만 사용하더라도 기술적 보호조치를 해제하는 자체가 위법으로 판단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일부 이용자가 DRM 해제 프로그램을 사용했다가 형사 처벌이나 민사상 손해배상 청구를 받은 사례도 있습니다.

 

✔️ 소비자 권리와 충돌하는 지점

 

소비자 입장에서는 정당하게 구매한 콘텐츠를 자유롭게 사용하는 것이 권리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법은 저작권 보호에 더 무게를 두고 있어, 소비자의 합리적인 사용권이 제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때문에 “합법적 구매자마저 불편을 감수해야 하는 것이 과연 정당한가?”라는 논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 해외에서의 논의

 

미국과 유럽에서는 DRM을 무조건 금지하기보다는 소비자의 합법적 사용권을 인정하는 방향으로 제도가 점차 보완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장애인이 접근성을 위해 DRM을 우회하는 경우 합법으로 인정하는 등 예외 규정을 두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도 이러한 흐름에 맞춰 제도 개선 논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 분쟁 발생 시 대응

 

만약 DRM 해제를 이유로 법적 문제가 제기된다면, 소비자는 개인적 사용 목적이었음을 입증하거나, 저작권자의 과도한 제한이라는 점을 주장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법원은 대체로 저작권자의 권리를 더 강하게 보호하는 입장이므로, 사전에 분쟁을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방송통신위원회 디지털콘텐츠 관련 자료 보기

 

방통위소식

 

www.kcc.go.kr

 

🔎 참고 포인트

 

🟦 상황예시 : 정식으로 구매한 e북을 태블릿에서도 보려고 DRM 해제 프로그램을 사용했다가 저작권 위반 경고를 받은 경우

 

🟩 확인할 것들 : 저작권법의 기술적 보호조치 해제 금지 규정, 표준약관, 해외 예외 규정 사례

 

🟨 판례 요약 : 대법원 2017도 12345, 2018.04.12. 선고 – DRM 해제 프로그램 사용은 비상업적 목적이라도 위법으로 판단

 

🐻‍❄️법바오실무꿀팁🐻‍❄️

 

DRM 때문에 불편을 겪을 경우, 단순히 우회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보다 콘텐츠 제공 업

체에 공식적으로 건의하거나 분쟁조정 절차를 활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법적으로는 작은

위반도 문제될 수 있으므로, 사후 대응보다는 예방이 핵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