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결혼 준비 과정에서 대행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그러나 막상 진행하다 보면 예상치 못한 사정으로 계약을 해지해야 하는 상황이 생기기도 합니다. 이때 업체에서 과도한 위약금을 청구하거나 청약철회를 거부하는 사례가 적지 않습니다.
✔️ 계약 해지와 위약금의 법적 기준
소비자분쟁해결기준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전 단계에서 계약을 해지할 경우 위약금은 계약금의 일정 비율로 한정됩니다. 또한, 계약 당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과도한 위약금은 무효로 판단될 수 있습니다.
✔️ 청약철회 거부는 가능한가?
전자상거래법 제17조는 소비자가 일정 기간 내 청약철회를 요구하면 원칙적으로 수용해야 한다고 규정합니다. 다만, 맞춤형 상품 등 일부 예외가 있지만 결혼준비대행서비스는 원칙적으로 청약철회 대상에 해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분쟁 발생 시 대응 방법
과도한 위약금 청구를 받거나 청약철회가 거부된다면, 내용증명을 통해 정식으로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 첫 단계입니다. 이후
👉 한국소비자원 피해구제 신청을 통해 중재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한국소비자원 홈페이지
www.kca.go.kr
✔️ 실제 사례로 본 법원의 판단
법원은 결혼 준비 대행 계약에서 합리적 범위를 넘는 위약금 조항은 무효라고 본 판례들이 있습니다. 즉, 계약서에 명시되었다 하더라도 무조건적으로 유효하지는 않습니다.
🔎 참고 포인트
🟦 상황예시 : 결혼준비대행 계약을 중도 해지했더니 전체 계약금 전액을 위약금으로 청구받은 경우
🟩 확인할 것들 : 소비자분쟁해결기준, 전자상거래법 제17조, 계약 당시 위약금 조항의 적정성
🟨 판례 요약 : 대법원 2016다202947, 2017.03.30. 선고
과도한 위약금은 민법 제103조 위반으로 무효
🐻❄️법바오실무꿀팁🐻❄️
- 계약 해지 의사가 생기면 내용증명으로 먼저 공식 통보
- 업체가 불응하면 한국소비자원 피해구제 신청 활용
- 위약금이 과도하다면 '민법 제103조(반사회질서 법률행위 무효)'를 근거로 무효주장 가능
'구매 계약 & 소비자 분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체험권 환불 거부, 소비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법적 기준 (0) | 2025.09.02 |
---|---|
전자상거래 플랫폼 판매자 신원 불분명 시 소비자 보호 2025년 대응 (0) | 2025.08.31 |
“2025년 우리아이 학원비 환불, 위약금 제대로 돌려받는 방법” (4) | 2025.08.26 |
정수기 렌탈 해지 위약금 과다 청구 대처법 - 2025년유형 (3) | 2025.08.23 |
(2025년)헬스장 위약금 환불 규정과 소비자 대처법 알아보자 (0) | 2025.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