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4

2025년 디스코드 대출사기 급증 - 이미 돈 보냈다면 이렇게 대응하세요 ✔️ 급전 필요했던 사회초년생, 디스코드 방에서 당하다20대 초반 사회초년생 B씨는 '급전 필요' 키워드로 검색하던 중디스코드 채널에 초대 됐습니다.거기엔 마치 금융사처럼 꾸며진 공지와 후기, 관리자들이 보낸 정중한 안내문이 가득했고,"신용등급 무관, 하루 50만 원 즉시 입금"이라는 문구에 결국 상담을 시작하게 되죠. 처음엔 부담 없이 물어보라고 했지만, 곧 "보증보험 수수료 5만 원만 먼저 입금하면 바로승인해드린다"는 말이 이어졌고,결국 돈을 보낸 뒤 상대방은 연락두절. 이미 이름, 주민번호, 계좌번호, 통신사 정보까지넘긴 상태였습니다. ✔️ 왜 디스코드 대출사기가 터지기 쉬울까? 이런 디스코드 기반의 신종 대출 사기는 2025년 들어 급격히 늘고 있습니다.이유는 간단합니다. 폐쇄적 플랫폼, 추적 .. 2025. 7. 26.
[2025년 최신] 내 목소리도 저작권이 있나요? AI로 도용 됐을 때 대응법 총정리 요즘은 누구나 앱 하나면 다른 사람 목소리와 똑같이 흉내내는 시대 입니다."AI로 만든 목소리니까 괜찮겠지?" 하고 올린 콘텐츠가 실제 목소리 주인에게 고소당하는 사례도 점점 늘고 있습니다. 과연 '내 목소리'도 법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을까요?그리고 누군가 내음성으로 콘텐츠를 만들었을 때, 우리는 어떤 대응을 할 수 있을까요? ✔️ 내 목소리도 법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나요? ➡️저작권은 아닙니다. 하지만 '성문권' 또는 '인격권' 보호는 가능합니다.- 목소리 자체는 창작물로 보기 어려워서 저작권 보호는 제한적- 하지만 특정인의 음성을 무단 사용하거나 가공해서 콘텐츠를 만들 경우,"성문권 침해" 또는 "초상권 유사 개념의 인격권 침해"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특히 유명인, 성우, 강사, 유튜버 등의 음성.. 2025. 7. 26.
[2025년 최신] 자취방에 곰팡이 생겼을 때, 세입자가 물어줘야 하나요? 월세 자취방에 살다 보면 벽지에 곰팡이가 피거나 결로가 생기는 문제를 겪는경우가 많습니다.특히 지하방이나 오래된 원룸 일수록 이런 일이 흔하죠.그런데 집주인은 "곰팡이 너 때문에 아니냐, 도배비 물어내라" 라고 말합니다.정말 이럴 때 세입자가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걸까요? ✔️ 구조적 결함으로 생긴 곰팡이는 세입자 책임이 아닙니다. 곰팡이의 원인이 다음과 같다면, 집주인(임대인)이 책임져야 합니다. - 환기 안 되는 구조 ( 지하/반지하, 창문 없음 등 )- 벽체 누수나 단열 불량- 오래된 주택에서의 결로 현상 ➡️ 이런 경우는 임대차법상 '임대물의 하자'로 간주되며, 세입자에게 원상복구 비용을 청구하는 건 부당합니다. ✔️ 세입자 책임이 되는 상황은? - 창문을 비닐로 완전히 밀폐해 환기를 의도적으.. 2025. 7. 26.
[2025년 최신] 일용직인데 퇴직금 받을 수 있나요? 현실 기준 정리 건설 현장, 배달 대행, 알바, 생산직 등 일용직으로 꾸준히 일했는데도 퇴직금 은 못 받는다?이건 현실에선 흔하지만, 법적으로는 반드시 확인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퇴직금은 꼭 정규직·계약직에게만 주는 건 아닙니다.일용직도 일정 조건을 만족하면 정식으로 청구할 수 있습니다. ✔️ 일용직도 퇴직금 받을 수 있나요? ➡️ 받을 수 있습니다. 단, 조건이 있습니다.'같은 사업장에서 1주 15시간 이상 근무하며, 1년 이상 계속 근무한 경우',법적으로 퇴직금 지급 대상입니다. 즉, 고용형태가 일용직이든 단기계약이든 관계없습니다.'실제 근무기간과 지속성'이 핵심입니다. ✔️ 어떤 사례가 인정되나요? - 건설현장에서 1년 넘게 같은 업체에서 일한 경우- 알바지만 쉬는 날 없이 주 5일 이상 일하며 1년 이상 계속.. 2025. 7. 26.
[2025년 최신] 신용카드 돌려막기 하다가 연체 중인데 협상 가능한가요? 카드로 카드값을 메우는 '돌려막기'는 한순간의 숨통을 틔우는 방법 같지만,결국 이자만 늘어나고 한계에 부딪히는 구조입니다. 특히 돌려막기 중 연체가 시작되면, 이자율 급등 + 독촉 + 연체기록 등록까지 이어지게되죠.이럴 때는 더 늦기 전에 채무조정 협상을 검토해야 합니다. ✔️ 연체가 시작되면 어떤 불이익이 생기나요? - 연체 이자율은 보통 연 20% 이상으로 급상승- 카드사 외에도 채권추심회사로 이관될 수 있음- 연체기록 등록 ➡️ 신용점수 급락, 금융거래 제한- 일정 기간 후엔 법적 조치(지급명령·소송) 가능성도 생깁니다 ✔️ 채무 조정은 어떤 방식으로 가능한가요? 🐾 카드사와 직접 협상- 일시상환이 어려울 경우, 분할상환 협의 요청 가능- 이자 감면 또는 일정 부분 채무 탕감 제안 가능 (사례.. 2025. 7. 25.
[2025년 최신] 캡처 이미지·영상 활용, 저작권 침해일까? 실무 대응법 총정리 유튜브나 블로그를 운영하다 보면 드라마 장면 캡처나 영상 일부를 짧게 인용하고 싶은경우가 많습니다."이 정도는 괜찮겠지?"라는 생각으로 썼다가 저작권 침해 경고·삭제 요청·합의 요구를 받는일이 실제로 자주 발생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캡처 이미지'와 '영상 일부 활용'이 저작권 침해가 될 수 있는 기준과 대응법을 정리해드립니다. ✔️ 캡처 이미지도 '저작물'입니다 - 방송화면, 드라마 장면, 유튜브 썸네일 등은 창작성이 있는 저작물로 보호됩니다.- 저작권자의 허락 없이 무단으로 복제·게제하면 원칙적으로 위법입니다.- 출처를 썼더라도, 동의 없이 가져온 것 자체가 침해로 볼 수 있습니다. ✔️ 동영상 일부 인용도 침해일 수 있습니다 - 영상 일부(예: 짧은 클립, 짤방, 밈)을 잘라 사용하는 경우➡️.. 2025. 7. 25.
[2025년 최신] 전세계약 종료 후 벽지·바닥 손상, 세입자가 다 물어줘야 하나요? 전세계약이 끝나고 이사를 준비하다 보면, 집주인과 가장 많이 부딪히는 문제 중 하나가바로 '원상복구' 범위입니다.특히 벽지의 색바램이나 바닥의 찍힘처럼 생활하면서 생긴 흔적도 전부 세입자 책임일까요?실제 실무에서는 이부분에서 분쟁이 많이 발생합니다. ✔️ 원상복구는 '입주 당시 상태'로 돌리는 게 원칙일까요? 아닙니다. 민법상 원상복구는 통상적인 사용으로 발생한 마모나 손상은 복구 의무에 포함되지 않습니다.예를 들어, 벽지의 색바램이나 가구로 인한 바닥의 찍힘은 '정상적인 생활의 결과'로 판단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어떤 경우에 세입자가 배상 책임을 지게 되나요? 아래와 같은 경우는 세입자가 직접 수리비를 부담해야 할 수 있습니다.- 벽에 못을 과도하게 박아 생긴 큰 구멍- 반려동물로 인한 벽지 훼.. 2025. 7.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