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73

(2025년) 미용실·피부과 후기 사진, 내 얼굴 그대로 광고에 쓰였다면 법적으로 가능할까? “시술 전후 비교 사진이 광고에 올라왔는데, 내 얼굴이에요.” 요즘 미용실, 피부과, 네일숍 등에서 고객의 시술 전후 사진을 ‘홍보용 후기’로 활용하는 일이 늘고 있습니다. 문제는, 고객이 명확히 동의하지 않았는데도 해당 사진이 SNS나 홈페이지에 공개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입니다. 단순한 홍보로 생각할 수 있지만, 이는 명백히 초상권 및 개인정보 침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초상권의 핵심은 ‘동의 여부’입니다 법적으로 타인의 얼굴이 식별 가능한 사진을 공개하려면 사전 동의가 필요합니다. 구두로 “이 사진 써도 돼요?” 하고 대답했다고 해도, 상업적 용도로 쓰인다면 반드시 서면 동의서나 명확한 계약 조항이 있어야 효력이 인정됩니다. 특히 시술 전후 사진처럼 민감한 이미지의 경우, 초상권과 개인정보보호.. 2025. 10. 30.
(2025년) 퇴사 후 회사 법인계좌 사용으로 발생한 세금 문제, 근로자 책임은 어디까지인가? 최근 퇴사자들이 회사 업무를 정리하다가 법인계좌를 일시적으로 사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거래처 환불, 잔금 처리 등 단순한 업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이 과정에서 세금 문제나 횡령 논란으로 번지는 경우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많은 근로자들이 “회사 부탁으로 잠깐 쓴 건데 왜 문제가 되죠?”라고 묻습니다. 하지만 법인 명의 계좌는 회사의 재산이므로, 퇴사 후 이를 사용하면 ‘소득 전가’ 또는 ‘업무상 횡령’으로 판단될 수 있습니다. 퇴직자의 법적 지위가 이미 종료된 상태라면 그 책임은 더욱 무겁게 적용됩니다. ✔️ 법인계좌 사용의 기본 원칙 법인계좌는 회사 고유의 자산이며, 업무 목적 외 사용은 불법으로 간주됩니다. 대표의 구두 지시가 있었다 하더라도, 회계기록이나 증빙이 남지 않았다면 ‘증빙 없는 지.. 2025. 10. 28.
(2025년) 전기자동차 충전기 설치·계약 해지 시 소비자 책임·환불 분쟁 완전 정복 최근 몇 년간 전기자동차의 급속한 보급과 함께, 개인 및 공동주택에 충전기 설치 계약을 맺는 사례가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하지만 설치 후 예상치 못한 사정으로 해지하거나, 사용하지 못하게 된 경우 환불이나 위약금 문제로 분쟁이 생기는 일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많은 소비자들이 “아직 설치도 안 했는데 계약금 못 돌려받나요?” 또는 “기사님이 설치했는데 기계가 불량이라 환불 가능한가요?”와 같은 상황을 겪습니다. 이런 경우 대부분의 갈등은 계약서상 ‘설치 전 취소’와 ‘설치 후 해지’의 법적 구분을 명확히 인지하지 못해 발생합니다. ✔️ 설치 전 계약 취소 전기차 충전기 계약에서 설치가 진행되기 전이라면, 소비자는 소비자기본법 제16조에 따라 계약 철회가 가능합니다. 단, 이미 충전기 장비 발주가 이루어.. 2025. 10. 28.
퇴사 전에 안 쓴 연차수당, 진짜로 사라진다고요? 2025년 미사용 연차수당 정산 기준과 돌려받는 법 알아보자 많은 직장인들이 퇴사 전 “연차 좀 남았는데 나중에 돈으로 받을 수 있겠지”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퇴사 직전 남은 연차를 쓰지 않거나 회사가 이를 정산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미사용 연차수당은 근로자의 권리지만, 제대로 청구하지 않으면 정말 사라질 수도 있습니다. ✔️ 연차수당의 기본 개념부터 정리하자 연차수당은 근로기준법 제60조에 근거해 발생하는 유급휴가를 사용하지 못했을 때 그에 상응하는 금액을 지급받는 제도입니다. 즉, 1년간 만근한 근로자는 15일의 연차를 가지며, 사용하지 않은 일수만큼 ‘통상임금 기준 일할 계산’으로 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하지만 회사가 연차수당을 자동으로 지급해야 하는 건 아닙니다. 퇴사일 기준으로 정산 청구가 들어와야 하고, 퇴사 이후 일정 기간이 지나면 .. 2025. 10. 23.
텔레그램 리딩방 사기, 계좌 빌려줬다가 공범된다? 2025년 실제 처벌 사례와 안전한 대응법 알아보기 요즘 SNS나 텔레그램 리딩방에서 “수익 보장”, “단기간 고수익”을 내세우는 광고를 자주 보셨을 겁니다. 하지만 이런 곳 중 상당수가 불법 대출사기, 리딩사기 형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특히, ‘계좌 좀 빌려달라’는 요청에 아무 생각 없이 응했다가 공범으로 형사처벌되는 사례가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 리딩방·대출사기 수법의 진화 2025년 들어 텔레그램 리딩방은 단순한 투자 유인에서 벗어나 ‘대출 중개’, ‘이자 수익 보장’ 등의 문구로 피해자를 끌어들이는 방식으로 진화했습니다. 운영자들은 투자금이 오가는 중간 통로로 일반인의 계좌를 활용하는데, 이런 계좌 제공 행위는 대포통장으로 간주되어 처벌됩니다.실제 경찰청 자료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만 해도 ‘리딩방 사기 연루 계좌 제공자’의 입건 수가.. 2025. 10. 23.
2025년 오피스텔 전세사기, 건축물 용도 허위 기재로 인한 계약 무효 사례 총정리 최근 오피스텔 전세사기가 급증하면서, 세입자가 가장 많이 당하는 유형 중 하나가 바로 “건축물 용도 허위 기재”입니다. 겉보기엔 주거용으로 보이지만, 등기부등본이나 건축물대장상 ‘업무시설’로 등록된 경우가 많죠. 이런 상태에서 전세계약을 체결하면, 법적으로는 ‘주택임대차보호법 적용 대상이 아닐 수 있는 위험한 계약’이 됩니다. 오늘은 실제 사례를 통해 이 사기의 구조와 2025년 기준으로 세입자가 취할 수 있는 대응 방법을 정리해드릴게요. ✔️ 오피스텔 전세사기의 핵심 구조 대부분의 사기 유형은 이렇게 시작됩니다. 부동산 중개업자나 임대인이 “이 오피스텔은 주거용으로 등록되어 있으니 안심하세요”라고 설명하지만, 정작 건축물대장에는 ‘업무시설(오피스)’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이 경우, 세입자는 보증금 반환.. 2025. 10. 21.